3dprintedart 3

글룩(GLUCK), 이수경 작가와 제작한 3D프린팅 성모상 ‘매듭을 푸시는 성모님’

글룩(GLUCK)에서 조각가 이수경 작가와 함께 3D프린팅 성모상 제작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한국 최초의 성모 마리아 성지인 남양성모성지에 헌정된 ‘매듭을 푸시는 성모님’은 조각가 이수경 작가의 손끝에서 출발해 3D프린팅 서비스 전문 기업 글룩(GLUCK)과의 협업을 통해 완성되었습니다. 는 수작업으로 빚은 듯한 섬세한 곡선과 감정이 담긴 표정을 고해상도 출력 기술로 구현하며, 예술과 기술이 충돌하지 않고 유연하게 맞물릴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화면 속 디지털 모델링이 프린터 위에서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어 가는 과정은, 예술과 기술이 함께할 때 어떤 새로운 결과가 탄생할 수 있는지를 잘 드러냅니다.한 장의 그림에서 시작된 조형, 그리고 3D프린팅으로의 전환이 작품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생전에 깊이 사..

3D프린팅 기술로 확장된 예술 감상 : 국립현대미술관 ‘이름의 기술’ 3D 촉각 전시 체험

안녕하세요, 3D 프린팅 제조 솔루션 기업 글룩입니다. 😊 최근 예술과 기술의 융합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3D프린팅은 예술 감상의 경계를 새롭게 확장하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3D프린팅 기술은 산업 현장을 넘어 예술, 교육, 사회문화 분야까지 그 활용 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2월 23일까지 약 5개월간,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에서 진행된 ‘이름의 기술’ 전시에서 3D 촉각 전시 체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기존의 시각 중심 감상 방식에서 벗어나, 촉각을 통한 예술 감상 방식을 제시하며 문화 접근성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누구나 예술을 ‘느낄 수 있도록’ 열린 감각형 전시 체험이 프로그램은 GS문화재단의 후원과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 운영부의 기획으로 진행되었으며..

3D 프린팅으로 복원된 금동관음보살좌상, 잊혀진 유산을 기억하는 새로운 방법

“일본으로 반환될, 서산 부석사의 금동관음보살좌상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그 존재조차 낯선 분들도 많겠지만, 이 불상은 오랜 시간 동안 우리 땅에서, 한 자리를 지켜온 소중한 문화유산입니다.고려 충숙왕 17년, 1330년에 조성된 이 불상은 충청남도 서산 부석사에 봉안되어 오랜 세월 동안 그 자리를 지켜왔습니다. 그러나 1378년, 왜구의 침입으로 인해 이 유산은 일본으로 약탈당했고 이후 일본 대마도 관음사에 오랜 시간 머물게 됩니다. 2012년, 국내로 다시 들여오면서 이 유산의 진정한 주인은 누구인가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시작됐습니다. 그러나 긴 소송 끝에 대한민국 대법원은 관음사의 소유권을 인정하여, 이 불상은 오는 2025년 5월 11일, 다시 일본으로 반환될 예정입니다.사라지는 것이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