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Insights)

미래형 공간 설계를 위한 인테리어 소재 혁신, 산업용 3D프린팅의 융합

글룩AI 2025. 7. 15. 11:09

 

산업용 3D프린팅, 즉 적층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AM) 기술은 인테리어 디자인 분야에서 단순한 제조 기법을 넘어, 전통적인 설계 및 시공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과거 대량 생산 중심의 체계에서 벗어나 고도로 개인화된 '대량 맞춤형 생산'으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며, 공간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소재’의 한계를 허물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고비용이나 숙련된 장인의 손길 없이는 구현하기 어려웠던 복잡한 형태들이 이제는 디지털 모델만으로 실현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3D프린팅이 어떻게 전통적인 재료의 틀을 넘어 새로운 소재의 시대를 열고 있는지, 그리고 ‘폐기물 자원화’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통해 어떻게 지속 가능한 인테리어의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기본을 넘어서: 고성능 폴리머와 금속의 시대

 

초기 3D프린팅이 주로 PLA나 ABS와 같은 기본적인 플라스틱 소재에 의존했다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테리어 분야에서도 월등한 물성을 지닌 고성능 재료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엔지니어링 등급 고성능 폴리머

향상된 강도, 내열성, 내구성을 갖춘 고성능 폴리머는 실제 사용 환경의 마모와 하중을 견뎌야 하는 기능성 가구나 인테리어 부품 제작에 적합합니다. 이는 단순한 장식품을 넘어, 장기간 사용을 전제로 하는 고품질 인테리어 요소를 3D프린팅으로 제작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디자인의 자유와 실용적 내구성을 동시에 만족시킵니다.

 

금속(Metal)

선택적 레이저 용융(SLM)이나 바인더 젯팅과 같은 금속 3D프린팅 기술은 인테리어에 정교함과 고급스러움을 부여하는 데 사용됩니다. 복잡한 패턴의 조명 기구나 맞춤형 손잡이, 예술적 가치가 높은 조형물 등을 제작할 수 있어, 하이엔드 인테리어 시장에서 독창적인 디자인을 구현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지속 가능성을 프린트하다: 폐기물의 화려한 변신

 

3D프린팅 기술의 가장 주목할 만한 강점은 ‘폐기물 자원화(Waste Valorization)’ 패러다임을 현실로 만든다는 점입니다. 과거에는 소각되거나 매립되던 소재들이 3D프린팅을 통해 고유의 미적 가치를 지닌 고부가가치 인테리어 제품으로 재탄생하고 있습니다.

  • 재활용 플라스틱: 네덜란드 디자이너 디르크 판데르 코이(Dirk Vander Kooij)는 폐기된 냉장고의 플라스틱을 녹여 로봇 팔 3D프린터로 ‘엔드리스(Endless)’ 의자를 제작합니다. 글로벌 기술 플랫폼 액추얼(Aectual)은 한 걸음 더 나아가, 테트라팩(Tetra Pak) 음료수 팩에서 추출한 폴리알(PolyAl)이라는 복합 소재로 의자, 화분, 벽 패널 등을 선보이며 산업적 재활용의 모범 사례를 만들고 있습니다.
  • 농업 및 해양 폐기물: 이제는 상상력의 범위가 더욱 넓어지고 있습니다. 균사체(버섯 부산물), 왕겨, 코르크와 같은 농업 폐기물은 물론, 폐조개껍데기까지 3D프린팅의 재료로 활용됩니다. 매뉴팩처라(Manufactura), 바이오매터스(BioMatters), 뉴탭-22(Newtab-22)와 같은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은 이러한 해양 생물 기반 재료를 활용해 콘크리트와 유사한 질감의 타일이나 독특한 바이오 플라스틱을 개발하며 이 분야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 섬유 폐기물: 직물 공정에서 발생하는 자투리 천을 바이오플라스틱과 혼합하여 3D프린팅용 필라멘트를 만드는 기술 또한 개발되었습니다. 이는 자원의 선순환을 이룰 뿐만 아니라, 섬유 고유의 색상과 질감이 살아있는 독특한 디자인 소재를 만들어내며 지속 가능성과 혁신을 결합한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더 큰 규모의 인테리어 구조물 제작에는 콘크리트 및 시멘트 기반의 3D프린팅 기술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SQ4D, ICON과 같은 기업들은 이미 3D프린팅으로 실제 건축물을 짓고 있으며, 이 기술은 실내의 유기적인 형태를 가진 벽체, 파티션, 계단 등 맞춤형 구조물을 제작하는 데 무한한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OPC) 사용으로 인한 탄소 배출 문제는 중요한 과제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산업 부산물인 플라이 애시(Fly Ash)나 고로슬래그를 활용한 지오폴리머, 또는 박테리아를 이용해 탄산칼슘을 형성하는 바이오 콘크리트 같은 친환경 대체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는 3D프린팅 건축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핵심적인 연구 분야로, 미래 친환경 건축의 중요한 축이 될 것입니다.

 

 AI와 생성적 디자인: 소재의 가능성을 극대화하다

 

인공지능(AI)과 3D프린팅의 융합은 소재의 혁신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생성적 디자인(Generative Design) 알고리즘은 소재의 가능성을 극한까지 끌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AI는 기능적 요구 사항, 재료 특성, 미적 선호도 등 주어진 조건에 맞춰 수많은 디자인 옵션을 자동으로 생성합니다. 이를 통해 인간 디자이너는 창의적 영감을 얻고, AI는 구조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형태, 즉 최소한의 재료로 최대의 강도를 내는 디자인을 찾아냅니다.

 

자하 하디드 아키텍츠(Zaha Hadid Architects)의 유기적인 건축물이나 다이와 하우스(Daiwa House)의 효율적인 주거 공간 설계는 이러한 접근 방식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처럼 AI는 소재 낭비를 최소화하고, 기존에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새롭고 효율적인 형태를 창조하며 지속 가능한 디자인을 기술적으로 뒷받침합니다.

 

새로운 공급망의 탄생: 순환적·탄력적 자재 경제

 

산업용 3D프린팅 기술이 가져온 소재의 혁신은 단순히 새로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넘어, 인테리어 자재 공급망의 구조 자체를 바꾸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제조 방식이 원자재 채굴과 가공, 장거리 운송에 의존했다면, 이제는 지역 기반의 폐기물 수집 및 처리 시스템이 제조와 직접 통합되는 순환적이고 탄력적인 자재 경제로의 전환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는 글로벌 원자재 공급망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지역 내에서 자원을 조달하고 소비하는 새로운 가치 사슬을 만듭니다. 이러한 흐름은 글로벌 기술이 반드시 산업의 균질화로 이어진다는 기존 개념을 뒤집는 혁신적인 움직임으로, 각 지역의 특성과 문화를 반영한 독창적인 디자인을 가능하게 합니다.

 

3D프린팅 기술의 가장 큰 혁신은 형태의 자유를 넘어 ‘소재의 해방’에 있습니다. 고성능 폴리머와 금속으로 정교함과 내구성을 더하고, 버려지던 폐기물을 독창적인 미학을 가진 자원으로 재탄생시키며, 심지어 건축의 근간이 되는 콘크리트까지 친환경적으로 진화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인테리어 디자이너와 건축가에게 전례 없는 창의적 자유를 부여하며, 소재의 고유한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산업용 3D프린팅 기술과 결합할 때 우리는 상상 속의 공간을 현실로 만들 수 있습니다. 지속 가능성과 심미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미래의 인테리어, 그 중심에는 혁신적인 소재와 이를 구현하는 3D프린팅 기술이 있습니다.

 

GLUCK은 이러한 가능성을 바탕으로 작은 아이디어를 반복 가능한 생산성으로 전환해 현실적인 제조 솔루션을 제공하는 대량생산형 산업용 3D프린팅 서비스 기업입니다.

 

지금 글룩에 문의해 보세요.

📩 제작 및 상담 문의: support@glucklab.com

 


Innovating Interior Materials: The Convergence of Industrial 3D Printing

 

Industrial 3D printing—also known as additive manufacturing (AM)—is doing more than just transforming production techniques in interior design; it’s fundamentally revolutionizing traditional approaches to design and construction. By shifting from mass production to highly customizable “mass customization,” AM is breaking down barriers in the materials that shape our spaces.

 

Complex forms once requiring skilled artisans and expensive tooling can now be realized from digital models alone. This article explores how 3D printing is ushering in a new era of interior materials—moving beyond ordinary substrates and turning waste into opportunity—while paving the way for a sustainable design future.

 

From Essentials to Excellence: High-performance Polymers & Metals

 

 

Engineering-Grade Polymers

Advanced polymers now offer superior strength, heat resistance, and durability—making them ideal for functional furniture and interior elements. Thanks to 3D printing, designers can combine visual appeal with long-term performance in everyday spaces.

 

Metals

Technologies like Selective Laser Melting (SLM) and Binder Jetting allow for stunning metal creations—custom lighting fixtures, artistic handles, and bespoke sculptural elements—elevating modern and premium interiors with intricacy and refinement.

 

Printing Sustainability: Transforming Waste into Worth

 

One of the most remarkable aspects of 3D printing is its embrace of waste valorization, turning discarded materials into valuable design assets:

  • Recycled Plastics: Dutch designer Dirk Vander Kooij melts down old fridge plastics into robot-printed “Endless” chairs, while Aectual uses Tetra Pak-derived PolyAl to create chairs, planters, and panels—demonstrating scalable design recycling.
  • Agri-Marine Byproducts: Materials like mycelium, rice husks, cork, and even seashells are being used by innovators like Manufactura, BioMatters, and Newtab‑22 to develop bio-based resins and tiles with concrete-like textures.
  • Textile Waste: Scraps of fabric blended with biopolymers are being extruded into 3D-printing filament—retaining unique textures and colors, and enabling both circular and creative design.

Large-scale structures are also being 3D-printed in concrete: companies like SQ4D and ICON are already building organic walls, partitions, and staircases. However, sourcing more carbon-conscious alternatives—like geopolymer mixes with fly ash or slag and bacterial carbonate concrete—is proving vital to reduce embodied emissions.

 

AI + Generative Design: Maximizing Material Potential

 

The synergy of AI and 3D printing is unlocking material innovation like never before. Generative design algorithms process structural, material, and aesthetic requirements to produce thousands of optimized iterations. Designers then select the most performance-efficient forms—minimal material, maximal strength. Zaha Hadid Architects and Daiwa House are prime examples of this streamlined, sustainable approach.

 

A New Material Economy: Circular, Resilient, and Local

 

3D printing isn’t just introducing new materials—it’s reshaping supply chains. Instead of sourcing primary materials from afar, local waste becomes the feedstock in circular material systems. This shifts power away from global commodity trade and toward regional creativity—allowing culturally and environmentally rooted interior design.

 

True material liberation goes beyond shape—it’s about freeing materials. High-performance polymers and metals bring precision and durability; waste becomes beauty; and even concrete evolves toward sustainability. Together, they empower designers and architects with unprecedented creative freedom.

 


 

 

By combining material innovation and industrial 3D printing, GLUCK transforms small ideas into reproducible, eco-conscious realities—enabling sustainable, beautiful interiors at scale.

 

🛠️ Transform your vision into reality with GLUCK’s mass-production-capable industrial 3D printing solutions.
📩 Inquiries & Consultations: support@glucklab.com

 

#GLUCK #글룩 #3D프린팅 #산업용3D프린팅 #SLA3D프린팅 #대량생산 #DfAM #지속가능소재 #인테리어소재 #업사이클디자인 #3D설계 #3D프린팅산업 #3D프린터 #3D모델링 #3D프린팅가격 #3D프린팅업체 #금형제작 #금형 #사출 #몰드제작 #3D프린팅견적 #3D출력 #SustainableMaterials #RecycledDesign #InteriorMaterials #MassProduction #3DPrinting #LargescaleProduction #AdditiveManufacturing #SLAtechnology #ManufacturingInnovation #DigitalTransformation #SmartManufactu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