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3D프린팅 기술의 발전은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닙니다.지금 이 순간, 우리 제조업의 경쟁력과 생존을 좌우할 핵심 기술이 이미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중대한 전환점에서, 씁쓸한 소식 하나가 들려왔습니다. 명문대를 졸업한 한 유능한 청년이 3D프린팅 창업을 했는데, 그 사업 아이템이 다름 아닌 중국 3D프린팅 업체 중개 서비스라는 것입니다.
한국 기업으로부터 설계 데이터를 받아 중국 공장에서 출력해주는, 일종의 ‘브로커형 외주 중개’ 모델이죠.
이 사례는 단순한 창업 아이템을 넘어, 왜 지금 한국의 인재들이 기술 개발이 아닌 해외 생산을 연결하는 역할에 머무르게 되었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우리에게 던집니다.
[신소재경제] “저성장 위기 韓제조업, 3D프린팅 등 미래기술 주권 확보 必 ” :: [기고]홍재옥 글룩(GLUCK) 대표
위 기고문은 한국 3D프린팅 산업이 처한 현실과 기술 주권의 위기를 정확히 짚어내며, 기술 외주화가 불러올 산업안보 리스크와 기술 축적 공백에 대해 중요한 문제 제기를 하고 있습니다.
오늘 이 글에서는 해당 기고문을 바탕으로, 왜 한국 제조업이 ‘값싼 외주’의 유혹을 뿌리치고, 3D프린팅 기술의 주권을 확보해야만 하는지, 그 이유를 실제 사례와 함께 깊이 파고들어 보겠습니다. 믿을 수 있는 3D프린팅 업체을 고민하는 실무자라면 반드시 끝까지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중국의 질주, ‘적자 수출’이라는 무서운 전략
중국은 ‘중국 제조 2025’와 같은 국가적 프로젝트를 통해 제조업 패권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막대한 정부 보조금을 등에 업고 전기차, 배터리, 드론 등 미래 산업 시장을 빠르게 장악했죠. 이는 과거 우리나라가 경제 성장을 위해 택했던 ‘적자 수출’ 전략과 놀랍도록 닮아 있습니다.
‘적자 수출’이란,
생산 원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해외에 제품을 판매해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는 전략입니다. 당장의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경쟁자를 고사시키고 시장을 독점하려는 의도죠. 중국 정부는 자국 기업에 엄청난 보조금을 지급하며 이 전략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기차 1대를 생산할 때마다 기업에 보조금을 주는 방식은 수백 개의 제조사를 낳았고, 결국 공급 과잉으로 ‘전기차 무덤’이라는 웃지 못할 풍경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중국은 국가 차원의 강력한 지원을 바탕으로 반도체, 로봇, 3D프린팅 등 첨단 산업 전반에서 한국을 무섭게 추격하고 있습니다. 단기적인 비용만 보고 중국의 생산 인프라에 의존하는 것은, 이러한 거대한 전략의 일부가 되는 것과 같습니다.
‘기술 중개 국가’의 함정: 우리는 무엇을 잃고 있는가?
앞서 언급한 청년 창업가의 사례로 돌아가 봅시다. 국내에서 직접 산업용 3D프린팅 장비를 개발하고, 재료를 테스트하며, 대량생산 공정을 최적화하려면 수년의 시간과 수십억 원의 투자가 필요합니다. 반면, 중국에 데이터를 보내면 단 하루 만에, 국내의 절반 이하 비용으로 시제품을 받아볼 수 있죠. 언뜻 보기에는 합리적인 선택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이 선택은 치명적인 결과를 낳습니다. 바로 ‘기술 축적’의 기회를 완전히 상실한다는 점입니다. 제품 하나를 완성하는 과정에는 수많은 시행착오와 실패, 그리고 그것을 극복하며 쌓이는 경험 데이터가 녹아있습니다. 이는 수치로 표현하기 힘든 ‘암묵지(暗黙知)’, 즉 기업의 핵심 노하우가 됩니다.
외주를 통해 ‘결과물’만 얻는 방식은 이 소중한 경험 자산을 타국에 고스란히 넘겨주는 것과 같습니다. 이러한 ‘데이터 탈한국화’가 가속화되면, 한국은 설계도만 그리고 생산은 모두 외국에 맡기는 ‘하청형 플랫폼 국가’로 전락할 수 있습니다. 설계 기술마저 중국이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복제하는 순간, 우리는 그저 주문서만 보내는 OEM 의존형 국가로 밀려날 것입니다.
미래를 소유하는 힘, 3D프린팅에서 시작되는 기술주권
3D프린팅은 단순한 제조 설비가 아닙니다. ‘디지털 설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지식 기반 제조 기술’입니다. CAD·STL 도면, 재료 조성비, 레이저 세기, 공정 파라미터까지, 이 모든 축적된 노하우는 ‘데이터’ 형태로 전송될 수 있으며, 바로 이것이 3D프린팅 아웃소싱의 가장 큰 위험입니다. 기술 그 자체가 국경을 넘어 유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중국에 3D프린팅을 외주로 맡길 경우, 단순히 부품을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설계 로직과 제작 방식 전체가 이전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이는 노동력이 아닌 ‘보이지 않는 기술자산’을 넘기는 셈입니다.
예를 들어,
- 재료 변형을 막는 열 제어 설계 방식
- 3D프린팅 양산을 위한 특정 콘텐츠
- 경량화 부품제조를 위한 설계 등
이러한 암묵지(暗黙知)는 표면적으로 보이지 않지만 기업의 핵심 경쟁력이 됩니다. 하지만 외주 과정에서 이 데이터가 중국 서버에 저장되거나 역공학 분석을 통해 복제된다면, 그 기술은 더 이상 ‘우리 것’이 아닐 수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이를 법적으로 보호하거나 침해 사실을 입증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특허가 아닌 노하우, 시행착오, 공정 이해는 문서가 아닌 경험으로 남기 때문입니다. 중국은 이런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사한 고효율 모델을 빠르게 시장에 내놓을 수 있습니다.
그 결과, 한국 기업이 어렵게 개발한 기술이 오히려 중국 제품에 의해 가격 경쟁에 밀리는 역전 상황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3D프린팅처럼 디지털 제조 기반에서는 설계 기술과 생산 기술이 분리되지 않습니다. 데이터가 외부로 나가는 순간, 그 설계가 왜 그렇게 되었는지까지 모두 함께 넘어갑니다. 결국 전체 공정의 재구성이 중국 현지에서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더 심각한 점은, 국내에 생산 기반이 없음에도 겉으로는 국내 업체인 척하는 중개 대행사가 있다는 점입니다. 고객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민감한 데이터를 해외로 넘기게 되는 셈입니다. 이처럼 외주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국내의 기술 내재화 역량은 약해지고, 인력은 기술을 직접 개발할 기회를 잃습니다. 산업 생태계는 정체되고, ‘기술 자립’이라는 기반 자체가 흔들립니다. 그리고 결국, 공급망 위기나 지정학적 갈등이 닥쳤을 때 우리는 제조 주권조차 행사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할 수 있습니다.
지금 중국 3D프린팅 인프라를 빌려 쓰며 절감하는 비용은
미래의 제조 경쟁력에서 지불해야 할 비용이자 리스크가 될 수 있습니다.
제조업 강국의 부활을 위한 4가지 생존 전략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중국의 거센 도전과 내부의 구조적 문제를 극복하고 제조업 강국의 위상을 되찾기 위해 다음 네 가지 전략이 시급합니다.
- 기술 자립형 R&D 투자: 이제는 남의 기술을 모방하고 조립하는 단계를 벗어나야 합니다. 3D프린팅 소재, 장비, 소프트웨어 등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과감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 국내 생산기반 강화: 제조업의 힘은 자국 생산기반에서 나옵니다. 글룩이 경기도 파주에 자동화된 3D프린팅 팩토리를 확장하는 것처럼, 기업들이 국내에 투자하고 생산시설을 늘릴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리쇼어링(Reshoring) 정책과 세제 지원이 필요합니다.
- 산업 맞춤형 인재양성: 기술 경쟁력은 결국 사람에게서 나옵니다. 이공계 인재들이 만족하며 일할 수 있도록 처우를 개선하고, 산업 현장의 수요에 맞는 교육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 정부의 역할 재정립: 정부는 규제 완화와 맞춤형 인센티브 제공으로 기업의 혁신을 뒷받침하는 든든한 후원자가 되어야 합니다. 민간의 창의성과 도전정신이 마음껏 발휘될 수 있는 공정한 시장 환경 조성이 중요합니다.
미래를 위한 선택, 기술 독립을 향한 여정
3D프린팅 기술의 중국 외주는 단기적으로 달콤한 비용 절감 효과를 줄지 모르지만, 장기적으로는 우리 제조업의 미래를 갉아먹는 독이 될 수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아낀 약간의 비용은, 미래 세대가 지불해야 할 값비싼 ‘기술 종속’의 대가일지 모릅니다.
GLUCK은 대량생산이 가능한 국내 산업용 3D프린팅 전문 서비스 기업입니다.
단순한 외주 업체를 넘어, 기술 자립을 함께 고민하는 3D프린팅업체를 원하신다면, 지금 글룩에 문의하세요.
📩 제작 및 상담 문의: support@glucklab.com
'글룩 소식 (GLUCK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y must South Korea's manufacturing industry move beyond “outsourcing production to China”? (0) | 2025.07.02 |
---|---|
3D 프린팅 대량 생산 기술에 주목하다, 인터몰드 코리아 2025 (0) | 2025.03.27 |
초정밀 3D 스캐너 도입! "3D 프린팅 품질 검증과 제조혁신 선도" (4) | 2025.02.06 |
2025 3D 프린팅 제조 서비스 올해의 기업 선정 (7) | 2025.01.23 |
글룩 10주년, 3D프린팅의 미래와 현재를 탐색하다. (7) | 2024.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