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설계 5

제2회 글룩 3D프린팅 오프라인 교육, 10개 대학 예비 졸업생과 산업 현장을 잇다

지난해 큰 호응을 얻었던 글룩의 '대학 졸업전시 창작 지원 프로그램'이 올해 더욱 깊이 있는 내용으로 돌아왔습니다. 3D프린팅 실무 교육의 두 번째 이야기, ‘제2회 3D프린팅 오프라인 교육 프로그램이 미래의 산업 실무자들과 산업 현장의 뜨거운 관심 속에서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이번 교육은 단순한 기술 전수를 넘어, 예비 산업현장 실무자와 디자이너, 창작자들이 자신의 상상력을 현실로 만드는 가장 강력한 도구로서 산업용 3D프린팅의 가능성을 직접 확인하는 자리였습니다.전국 10개 대학, 13개 학과 예비 졸업생들과 함께 이번 교육은 2025년 졸업전시 지원 프로그램 2회차에 선정된 대학을 중심으로, 3D프린팅 기술에 대한 높은 열정과 관심을 가진 예비 졸업생 및 산업현장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

[월간글룩. 7월] 금형없이 로봇을 대량생산 하는 방법

SLA 3D프린팅, 로봇 부품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합니다.SLA 3D프린팅 기술을 통해 로봇 부품의 경량화, 디자인 혁신 그리고 효율적인 양산성을 동시에 실현합니다 ➡️경량화부품 일체화 설계를 통해 브래킷, 조립 파트를 제거하고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여 소형 모터 적용 가능성을 확대하며, 배선 및 센서 배치 자유도를 높입니다. ➡️외피 디자인 자유 곡면 설계와 브랜드형 커버 구현으로 사출로는 불가능했던 브랜드 로고 및질감 일체화 설계를 가능하게 하여 로봇의 외관 으로 브랜드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대량 맞춤화 각 고객의 요구에 최적화된 로봇 부품을 각각 별도로 제작하면서도,금형 없이 수천 개까지 생산 가능한 대량 맞춤화가 가능합니다. 다양한 로봇 기업들이 발전된3D프린팅 솔루션으로 놀라운 성과를 달성..

그래스호퍼와 3D프린팅, 알고리즘이 빚어내는 제조 산업

제조업의 혁신은 단순히 새로운 생산 방식의 도입만으로 완성되지 않습니다. 그 시작점인 ‘설계’ 단계의 패러다임이 바뀔 때 진정한 변화가 일어납니다. 그래스호퍼(Grasshopper)와 같은 파라메트릭 디자인 툴과 산업용 3D프린팅의 융합은 바로 이 설계의 본질을 바꾸고 있습니다. 디자이너는 더 이상 하나의 고정된 형태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무한한 변형 가능성을 품은 ‘설계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는 곧바로 물리적인 제품으로 구현됩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디지털 알고리즘과 첨단 소재 기술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그래스호퍼를 활용한 파라메트릭 디자인이 어떻게 산업용 3D프린팅의 장점을 극대화하며, 특히 소재의 효율적 활용과 맞춤형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3D 모델링에서 생산까지, 산업용 3D프린팅의 연결고리

모든 제조는 이제 데이터에서 시작됩니다3D프린팅, 즉 적층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기술은 프로토타이핑을 넘어 최종 제품 생산에까지 활용되며 제조업 전반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디지털 청사진, 바로 3D 모델 데이터가 있습니다. 실체가 있는 모든 물체는 이제 디지털 파일에서 시작되며, 이 데이터를 제작, 공유, 검증하는 생태계 없이는 오늘날의 산업용 3D프린팅을 논할 수 없습니다. 전 세계 디자이너와 기업을 연결하는 3D 모델 플랫폼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취미 활동과 실제 산업 현장의 요구는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3D 모델 데이터 생태계의 구조를 산업용 3D프린팅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단순한 파일 공유를 넘어 실제 대량생산으..

대량생산, DfAM을 아는 3D프린팅 기업과 함께해야 하는 이유

완벽하게 만들어진 3D 모델링 파일이 있습니다. 이제 이 파일을 3D프린팅 업체에 보내 '출력'만 하면 멋진 제품이 완성될 것이라 기대합니다. 하지만 왜 어떤 프로젝트는 성공적으로 완성되는 반면, 어떤 프로젝트는 품질 문제와 예상치 못한 비용 증가로 실패의 쓴맛을 보게 될까요? 성공적인 3D프린팅 프로젝트는 최신 장비나 소재만으로 완성되지 않습니다. 많은 분들이 간과하지만, 가장 결정적인 요소는 바로 '설계(Design)'입니다. 기존 가공 방식에 맞춰진 3D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했을 때, 결과물의 품질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거나 심지어 실패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핵심은 눈에 보이지 않는 과정, 바로 'DfAM(Design for Additive Manufacturing, 적층제조설계)'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