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량생산 21

누구나 메이커가 되는 세상, 산업용 3D프린팅이 바꾼 굿즈 산업

오늘날의 굿즈(Goods) 시장은 단순한 상품 판매를 넘어서 팬덤, 개인의 정체성, 문화적 현상이 교차하는 거대한 경제 생태계로 진화했습니다. K팝 팬덤 경제는 8조 원 규모로 성장했고, 개인화 맞춤 상품 시장은 수백조 원에 달하는 거대한 흐름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현대의 굿즈는 더 이상 로고가 박힌 기념품이 아닙니다. 그것은 팬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브랜드의 서사를 담으며, 특정 문화적 순간을 물리적으로 구현한 ‘인공물(Artifact)’이자, 감성적 가치를 전달하는 ‘서비스’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처럼 빠르고, 파편화되고, 지극히 개인적인 굿즈 시장의 요구를 전통적인 제조 방식은 따라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수억 원의 금형비와 수천 개의 최소주문수량(MOQ)이라는 낡은 규칙이 창의성의 발목을 ..

보이지 않는 폭력의 고리를 끊다 : 산업용 3D프린팅이 제시하는 윤리적 생산

우리의 일상은 수많은 상품으로 채워져 있습니다. 손안의 스마트폰, 최신 유행을 담은 의류는 현대 소비 사회의 풍요를 상징합니다. 우리는 저렴한 가격으로 편리함과 만족감을 얻지만, 그 가격표 너머에 숨겨진 진실에 대해서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이 글은 우리의 소비 행위가 저개발국의 노동자들에게 가해지는 ‘구조적 폭력(structural violence)’의 일부가 될 수 있다는 불편한 가설에서 출발합니다. 구조적 폭력은 사회·경제적 시스템 자체에 내재하여 특정 집단의 잠재력 실현을 억압하는 보이지 않는 폭력입니다. 저렴한 제품을 향한 끝없는 수요와, 그 수요를 맞추기 위해 비인간적인 노동 환경을 강요하는 글로벌 공급망이 바로 이 폭력의 핵심 메커니즘입니다. 따라서 진정한 윤리적 소비는 단순히 ‘착한 기..

STL에서 3MF까지, 3D프린팅 파일 포맷의 역사와 미래 제조산업

오늘날 산업용 3D프린팅 워크플로우의 시작점에는 언제나 디지털 파일이 있습니다. 이 파일은 3차원 설계 데이터를 프린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변환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수십 년간 이 분야의 표준으로 군림해 온 STL 파일 포맷이 없었다면 3D프린팅 기술의 대중화는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STL의 한계는 명확해졌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표준이 등장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3D프린팅의 여명기를 연 선구적인 파일 포맷 STL의 탄생 배경과 기술적 구조를 살펴보고, 현대적인 제조 환경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게 된 근본적인 한계를 분석하고자 합니다. STL의 탄생 : 3D프린팅 산업의 공용어STL 파일 포맷이 등장하기 이전, 초기 3D프린팅 및 CAD(Computer-A..

미래형 공간 설계를 위한 인테리어 소재 혁신, 산업용 3D프린팅의 융합

산업용 3D프린팅, 즉 적층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AM) 기술은 인테리어 디자인 분야에서 단순한 제조 기법을 넘어, 전통적인 설계 및 시공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과거 대량 생산 중심의 체계에서 벗어나 고도로 개인화된 '대량 맞춤형 생산'으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며, 공간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소재’의 한계를 허물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고비용이나 숙련된 장인의 손길 없이는 구현하기 어려웠던 복잡한 형태들이 이제는 디지털 모델만으로 실현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3D프린팅이 어떻게 전통적인 재료의 틀을 넘어 새로운 소재의 시대를 열고 있는지, 그리고 ‘폐기물 자원화’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통해 어떻게 지속 가능한 인테리어의 미래를 만들어가..

순환경제의 핵심 동력, 산업용 3D프린팅의 5가지 지속가능성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물건들은 수명이 다하면 어디로 갈까요? 기존의 선형 경제(Linear Economy) 모델에서는 '채취-생산-소비-폐기'의 과정이 반복되며, 대부분의 제품은 결국 쓰레기 매립지로 향합니다. 이 모델은 자원 고갈과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하며 지속 가능성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순환경제(Circular Economy)'가 부상하고 있습니다. 순환경제는 설계 단계부터 자원의 복원과 재생을 목표로 하며, 폐기물을 귀중한 자원으로 인식하는 새로운 산업 시스템입니다. 이 혁신적인 경제 모델의 중심에 산업용 3D프린팅, 즉 적층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기술이 있습니다. 3D프린팅은 디지털 설계에 따라 필요한 재료만 층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