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printing 53

누구나 메이커가 되는 세상, 산업용 3D프린팅이 바꾼 굿즈 산업

오늘날의 굿즈(Goods) 시장은 단순한 상품 판매를 넘어서 팬덤, 개인의 정체성, 문화적 현상이 교차하는 거대한 경제 생태계로 진화했습니다. K팝 팬덤 경제는 8조 원 규모로 성장했고, 개인화 맞춤 상품 시장은 수백조 원에 달하는 거대한 흐름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현대의 굿즈는 더 이상 로고가 박힌 기념품이 아닙니다. 그것은 팬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브랜드의 서사를 담으며, 특정 문화적 순간을 물리적으로 구현한 ‘인공물(Artifact)’이자, 감성적 가치를 전달하는 ‘서비스’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처럼 빠르고, 파편화되고, 지극히 개인적인 굿즈 시장의 요구를 전통적인 제조 방식은 따라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수억 원의 금형비와 수천 개의 최소주문수량(MOQ)이라는 낡은 규칙이 창의성의 발목을 ..

데이터로 본 한국 3D프린팅 산업과 전략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발간한 「2024년 3D프린팅 산업 실태조사」는 대한민국 3D프린팅 산업의 현실을 냉정하게 진단하고, 미래를 향한 나침반을 제시합니다. 2023년 국내 3D프린팅 시장은 6,125억 원 규모로, 전년 대비 2.1% 성장에 그치며 숨 고르기에 들어갔습니다. 이는 2022년의 18.2%라는 높은 성장률과 극명한 대조를 이루며, 포스트 코로나 회복 동력 이후 산업의 구조적 취약성이 드러났음을 시사합니다. 본 글에서는 해당 보고서의 핵심 데이터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국내 3D프린팅 산업이 직면한 구조적 문제의 본질을 파악하고, ‘장비 판매’ 중심의 초기 시장 단계를 넘어 고부가가치 ‘서비스’ 중심의 성숙한 생태계로 나아가기 위한 전략적 방향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보이지 않는 폭력의 고리를 끊다 : 산업용 3D프린팅이 제시하는 윤리적 생산

우리의 일상은 수많은 상품으로 채워져 있습니다. 손안의 스마트폰, 최신 유행을 담은 의류는 현대 소비 사회의 풍요를 상징합니다. 우리는 저렴한 가격으로 편리함과 만족감을 얻지만, 그 가격표 너머에 숨겨진 진실에 대해서는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이 글은 우리의 소비 행위가 저개발국의 노동자들에게 가해지는 ‘구조적 폭력(structural violence)’의 일부가 될 수 있다는 불편한 가설에서 출발합니다. 구조적 폭력은 사회·경제적 시스템 자체에 내재하여 특정 집단의 잠재력 실현을 억압하는 보이지 않는 폭력입니다. 저렴한 제품을 향한 끝없는 수요와, 그 수요를 맞추기 위해 비인간적인 노동 환경을 강요하는 글로벌 공급망이 바로 이 폭력의 핵심 메커니즘입니다. 따라서 진정한 윤리적 소비는 단순히 ‘착한 기..

버려진 것들로 만든 아름다움 : 지속 가능한 3D프린팅 패션

패션은 ‘직물(Fabric)’로 만들어진다는 관념이 기술의 발전과 함께 근본적으로 재정의되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산업용 3D프린팅이 있습니다. 이제 패션은 단순히 천을 자르고 꿰매는 방식을 넘어, 디지털 데이터와 혁신적인 소재를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창조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단순한 제작 기법의 변화를 넘어, 패션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소재’의 개념 자체를 확장하며 새로운 가능성의 시대를 열고 있습니다. 초기 3D프린팅 패션이 보여준 조형적 실험에서부터, 오늘날 지속 가능성을 화두로 떠오른 재활용 및 바이오 소재의 활용에 이르기까지, 3D프린팅 기술이 어떻게 패션의 재료가 되고 있는지, 그 혁신적인 강점과 미래를 심층적으로 조망하고자 합니다. 초기 3D프린팅 패션의 소재: 가능성과 한..

미래형 공간 설계를 위한 인테리어 소재 혁신, 산업용 3D프린팅의 융합

산업용 3D프린팅, 즉 적층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AM) 기술은 인테리어 디자인 분야에서 단순한 제조 기법을 넘어, 전통적인 설계 및 시공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과거 대량 생산 중심의 체계에서 벗어나 고도로 개인화된 '대량 맞춤형 생산'으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며, 공간을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인 ‘소재’의 한계를 허물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고비용이나 숙련된 장인의 손길 없이는 구현하기 어려웠던 복잡한 형태들이 이제는 디지털 모델만으로 실현 가능해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3D프린팅이 어떻게 전통적인 재료의 틀을 넘어 새로운 소재의 시대를 열고 있는지, 그리고 ‘폐기물 자원화’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통해 어떻게 지속 가능한 인테리어의 미래를 만들어가..